‘살인자의 아들’
‘못 배운 놈’
‘시한폭탄 문제아’
서글한 눈매를 가진 스무살 청년 사이먼에게 붙은 꼬리표다. 그가 소년병에게서 태어난 ‘소년병 2세’이기 때문이다.
“어느날 밤 납치 당한 엄마는 소년병이 되었어요.
그리고 반군의 전장에서 제가 태어났습니다.”
1992년, 우간다 굴루의 반란군이 전쟁과 성착취를 위해 아이들 7만 여 명을 납치 했다. 사이먼의엄마 제니퍼도 그 중 한 명이었다.

사이먼과 사이먼의 엄마 제니퍼
11살에 납치된 그녀는 성노동에 동원되었으며, 군사훈련을 받기도 했다. 아이가 보아서는 안 될 장면, 듣지 않아야 할 소리, 겪지 말아야 할 일로 가득 했던 징집 생활. 떠올리고 싶지 않은 3년이 흐르고, 그녀의 나의 14살에 아들 사이먼이 태어났다.
“총소리,
비명소리,
불규칙한 내 심장소리”
사이먼에게 어린시절을 묻자 이것들을 나열 했다. 더이상 소년병의 삶을 견딜 수 없던 엄마는 5살 된 사이먼을 데리고 목숨 건 탈출길에 나섰다.
멈추면 죽는다는 공포에 밤낮 없이 달려 도착한 곳은 월드비전 소년병 재활센터였다.

사이먼과 제니퍼가 도망쳐 도착한 곳, 월드비전 소년병 재활센터
사이먼은 그 때 처음 ‘행복’이란 감정을 느꼈다고 했다.
“총소리가 들리지 않았어요.
처음으로 그림도 그렸고, 노래도 불렀어요.
상담시간에 엄마가 웃는 걸 봤어요.
정말, 정말 행복 했어요.”

재활센터 활동 모습
그 시절을 회상하는 사이먼의 얼굴에 처음으로 밝은 기운이 돌았다.
재활센터에서 경제적 자립을 위한 직업 훈련을 받은 모자는 징집 생활 12년만에 고향에서의 홀로서기를 시작 했다.

재봉, 미용, 농업 등 다양한 직업 기술을 알려주는 재활 프로그램
쉽지 않았다. 사람들은 소년병을 ‘반군의 아들’, ‘배신자’, ‘무서운 사람’이라며 배척 했다. 하지만 사이먼은 오히려 더욱 단단해진 목소리로 말을 이었다.
“어렸을 때 납치를 당하지 않았다면
엄마도 저도 여느 아이들처럼
공부하고, 웃고, 떠드는
평범한 소년 시절을 보내지 않았을까요?
우리도 그들과 같은 어린이였고,
또 지금은 똑같이 존엄한 인간이라고 생각해요.
주홍글씨에 기죽지 않고,
그들의 편견이 틀렸음을 묵묵히 증명해낼게요!”

기특한 내 아들
자신의 당당한 다짐을 입증하듯, 기술학교에서 엔지니어링을 전공하고 있는 멋진 청년, 사이먼.
학비가 모자라 1년 간 오토바이나 자동차를 정비하며 학비를 마련해야 했다는 사이먼. 포기하지 않고 학업을 이어온 덕에, 다음 달이면 사이먼은 엔지니어 자격증을 가진 ‘스펙 좋은’ 남자가 될 예정이라고(웃음).

기름내나는 실습실 안. 익숙한 공구를 잡고 쑥쓰럽게 찰칵! 엔지니어링 전공 4학년, 사이먼.
‘지잉- 지잉-‘
그날도 사이먼은 실습실에 홀로 남아 묵묵히 용접봉을 잡고, 기름때 묻은 부품을 수리 했다. 그의 야문 손끝을 보는 내 마음에 진한 확신이 차올랐다.
그는 분명 수많은 소년병의 흉터를 용접하고, 때묻은 편견을 수리하는, 그런 멋진 엔지니어가 될 거라고.
글. 배고은 커뮤니케이션팀
사진. 편형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