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 있었어요. 두 번째 아프리카니까 ‘이번에는 이것도 하고 저것도 해야지’ 하는 의욕도 넘쳤고, ‘내가 아이들을 좋아하는구나’하는 내면의 자신감도 있었죠.”

“그런데요?”

“그런데요-“ (웃음)

201711_story_sbshope_01

떨리는 마음으로 첫 아프리카를 만난지 꼭 1년. 배우 최강희는 ‘월드비전 홍보대사 최강희’가 되어 한껏 자신 있게 두 번째 아프리카로 향했다. 그런데 그 자신감은 금새 사라져버렸다. 어떤 일이 있었던 걸까? 그녀의 두 번째 아프리카, 남수단 난민촌 이야기를 들어 보았다.

 

느껴지지 않았어요

5년 째 내전 중인 남수단에 갔어요. 첫 날, 한 병원을 찾았는데 이상하게도 그곳 사람들의 아픔이 느껴지지 않는 거예요. 난민촌에 갔을 때도, 사람들이 슬퍼 보이지 않았고, 고통스러워 보이지 않았어요.

201711_story_sbshope_02

‘이 사람들의 아픔을 한국에 잘 전달해야 더 도움이 될텐데’하는 부담감이 얇은 막이 되어 제 마음과 눈을 가렸어요. ‘‘더 자극적인’ 이야기는 없나’하는 제 내면을 마주 했을 땐, 그들의 고통에 공감하지 못하는 제 자신이 실망스럽고 밉기까지 하더라고요. 그때부터 자신감은커녕 걱정이 밀려오기 시작 했어요.

 

 

그냥 웃게 해주자

‘나에게 공감의 마음이 없는데, 내가 어떻게 통로가 될 수 있을까.’ 무거운 마음으로 뒤척이던 밤, 친구에게 문자가 왔어요.

‘잘 지내? 별일 없지?’

별거 아닌 말이었는데, 고마운 거에요. 누군가가 나의 안부를 물어준다는 것 만으로 힘이 나더라고요. 저는 ‘나만 잘하면 된다’고(웃음) 답장을 했는데, 친구의 대답이 이거였어요.

‘강희, 네가 할 수 있는 거 별거 없잖아~
그냥 아이들보면 웃게 해줘. 그러고 와’

그제서야 ‘내가 웃는 사람과 함께 웃지 못하고, 우는 사람과 함께 울지 못했구나’ 깨달았죠.

201711_story_sbshope_03

그 때부터 부담감을 내려 놓고 아이들을 대했어요.

‘잘 지내니?’

‘밥은 먹었어?’

‘아픈 데는 없고?’

진심을 담아 물었어요.

201711_story_sbshope_04

그들의 이름을 묻고, 이름을 부르고, 눈을 맞추었어요.

그렇게 안부를 물었을 뿐인데, 고맙게도 아이들이 웃어주더라고요.

201711_story_sbshope_05

아이들의 웃음이 웃음으로 보이기 시작 했고, 슬픔이 슬픔으로 보이기 시작 했어요. 경계와 무기력함이 묻어나던 아이들의 표정이 서서히 풀어지더니, 아이들의 이야기 보따리도 풀리기 시작 했어요.

 

 

아이들의 이유 있는 이야기

이 아이는 10살 아콧(Akot) 인데요.

201711_story_sbshope_06

내전으로 부모를 잃고 동생 3명을 돌보고 있어요.

201711_story_sbshope_08“복수할까 봐 남자아이들은 모두 죽여요.
그래서 지난 5월 집을 떠나 동생들과 이곳으로 도망쳤어요.”
(아콧, 10살)

 

아콧은 외로워 보였어요. 이곳에서도 고향에서도 환영 받지 못하니까, 작은 소일거리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었어요.

팔에 난 큰 상처는 배가 고파 남의 밭에 떨어진 수수대를 주워 먹다 밭 주인의 아들에게 물린 거래요.

그 상처를 치료해준다고 제가 알콜솜으로 닦아 내는데, 이 아이가 숨소리도 내지 않는 거예요.

나중에 물어보니, ‘아프다고 하면 치료받을 기회를 놓칠까 봐’ 그랬다더라고요.

그때 아콧의 상처가 보였어요. 눈에 보이는 상처 말고, 내전으로 깊게 팬 마음의 상처요. 우리가 너무 큰 충격을 받으면 소리를 낼 수 없듯이, 이 아이들도 그런거예요.

제가 할 수 있는 건 그 상처를 꼭 보듬어 주는 것이었어요.

 

 

누군가에게 힘이 된다는 건.

아프리카의 마지막 날. 루알(Lual, 6), 아욕(Ayok, 4), 뎅(Deng, 3), 콘딕(Condic, 1), 4남매를 키우는 에족(Ajok)을 만났어요.

201711_story_sbshope_09

분쟁에 휘말린 남편을 고향에 두고, 4남매와 함께 낯선 땅으로 온 그녀. 본인의 몸에서는 30분마다기생충이 나오고, 아이들은 모두 아프고, 사는 집에서는 쫓겨날 처지였어요. 여기까지만 해도 너무 큰 고통인데, 에족이 그러는 거예요.

“강희, 사실 어제 남편이 죽었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어요. 내가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어서,  아이들과 함께 죽으려고 했어요. 근데 당신이 나를 찾아온 거에요. 이 세상에 혼자 남겨진 나에게, 당신이 물어준 거에요. 아픈 데는 없느냐고, 마음은 괜찮냐고, 아이들 학교는 다니느냐고.”

201711_story_sbshope_10

201711_story_sbshope_11저는 아무것도 해준 게 없는데, 그저 찾아가서 안부를 물었을 뿐인데∙∙∙. 그것만으로 죽음이 생명으로 바뀔 수 있는 거구나.

사람들의 인생을 드라마틱하게 바꿔주겠다는 욕심으로 찾은 저의 두 번째 아프리카가 저에게 말했어요.

누군가를 돕는다는 건 사실 ‘너와 함께 걷는 사람이 있어’를 느끼게 해주는 거라고. 그래서 네가 이곳에 온 거라고.

아무리 힘들어도 나를 믿어주는 한 사람이 있으면 우린 버틸 수 있잖아요. 누군가를 돕는 건 내가 그 한 사람임을 알려주는 것, 아닐까요?

‘잘 있냐고’, ‘괜찮냐고’, 안부를 묻는 것에서부터 희망이 시작될 거라 믿어요.

201711_story_sbshope_12

월드비전과 함께하는 <희망TVSBS>를 통해 더 많은 최강희와 아이들의 이야기를 만나보세요.

11월 17-18일(금-토), SBS

글. 배고은 커뮤니케이션팀
사진. 이용대 사진작가

긴급구호 정기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