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클럽(Peace Club)’ 수업이 한창인 어느 초등학교. 수업에 방해가 될까 싶어 조용히 귀를 기울여본다. “남수단에서 온 데이비드예요.” “저는 부룬디인 이시무에입니다.” “소말리아 출신 아하메드예요.”

총 35명의 학생으로 구성된 평화클럽엔 남수단, 부룬디, 소말리아, 콩고, 르완다, 에티오피아, 북수단, 케냐까지 각기 다른 8개국의 아이들이 모여 있었다.

여기서 우린 어떤 아이들을 만나게 될까?

아프리카 대륙 중부 케냐(Kenya)의 국경에 자리한 카쿠마(Kakuma) 난민촌.전쟁으로 피난길에 오른 난민 18만 명이 살고 있다.

아프리카 대륙 중부 케냐(Kenya)의 국경에 자리한 카쿠마(Kakuma) 난민촌.전쟁으로 피난길에 오른 난민 18만 명이 살고 있다.

.


 

.

선명히 남아 있는 전쟁의 상처

“2013년에 제 고향 남수단에서 큰 전쟁이 났어요. 딩카족과 누에르족이 서로를 공격 했어요. 부모님은 그때 돌아가셨어요. 저는 한 살이던 막냇동생을 안고 여동생들이랑 할머니랑 도망쳐 왔어요.” 19세 아오이는 고개를 떨군다. 난민촌에 온 지 5년이 됐지 만, 하루아침에 고아가 된 아픔은 여전히 생생하다.

수만 명의 사망자를 낸 남수단 전쟁. 딩카와 누에르 부족 간의 빗발친 총성은 부모와 형제, 친구를 앗아갔다. 카쿠마에 있는 난민의 55%가 이 내전으로 발생한 남수단 출신이다.

전쟁의 분노는 아이들에게 고스란히 전해진다. 학교의 같은 반에 부모님을 죽인 부족 출신의 친구가 있으면 폭력이 발생하기도 하고, 이웃집에 사는 원수의 가족들을 공격하기도 한다.

 

PEACE(평화), 분쟁의 상처와 맞서는 주문

난민촌에 팽배한 부모 세대의 갈등과 각기 다른 국적·언어·문화로 생겨난 장벽으로 인해 아이들은 서로에게 다가설 수 없었다. 월드비전은 카쿠마 난민촌 아이들이 종족 간 갈등, 폭력, 노동에서 벗어나 안전한 환경에서 자라나도록 아동평화교육을 시작했다.

일주일에 한 번 열리는 ‘평화클럽’에는 21개의 학교 및 아동정서친화공간에서 1,000여명의 아동이 참여한다. 여기서 이들은 평화를 담은 노래를 직접 작사, 작곡해 부른다. 갈등 상황을 연극으로 표현하고, 지난 상처를 알록달록한 그림으로 채워간다.

“클럽 활동을 하면서 평화를 배웠어요. 국적에 상관없이 이제 모든 친구들을 사랑할 수 있어요. 제 꿈은 대통령이에요. 오랜 전쟁으로 눈물 흘리는 제 고향 남수단에도 평화를 전하고 싶어요.” 17세 소년 마샬의 눈이 반짝인다.

왼쪽엔 평화, 오른쪽엔 분쟁을 표현한 아이의 초상화. 얼굴의 반이 붉게 색칠돼 있다.

왼쪽엔 평화, 오른쪽엔 분쟁을 표현한 아이의 초상화. 얼굴의 반이 붉게 색칠돼 있다.

평화 홍보대사를 꿈꾸는 아이들

“안녕하세요, 저는 마블러스 마리암이에요!” 동글동글한 눈이 귀여운 15세 소녀. “평화클럽에선 서로를 특별하게 불러요. ‘평화’하면 떠오르는 단어들을 적어놓고 그중에서 자신의 별명을 정한 건데요. 전 제 이름 마리암의 첫 글자 M을 따서, 멋지고 놀라운이란 뜻의 마블러스(marvelous)란 단어를 골랐어요.”

“평화가 없으면 모든 게 파괴돼요. 소중한 가족, 집, 학교 모든 게요. 이제는 달라요. 우리는 평화를 배우고, 함께 앉아 공부하고, 모르는 건 서로 물어보면서 같이 꿈을키 워가요. 저는 그리고 우리는 평화 홍보대사입니다.”

“Peace is important everywhere~Peace is important everywhere~”
(평화는 어디에서나 중요해~평화는 어디에서나 중요해~)

교실에 가득한 아이들의 노랫소리.
상실감, 아픔, 분노, 황폐함이
가득한 난민촌에 희망의 주문이
울려 퍼지고 있다.

평화클럽이 진행되는 교실의 모습

평화클럽이 진행되는 교실의 모습

*이번 특집 기사는 한겨레신문과 함께하는 <2018 나눔꽃 캠페인>의 일환입니다.

김유진 콘텐츠&커뮤니케이션팀
사진 한겨레신문 김성광 기자